Quantcast
Channel: 시나리오 작업중!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7

상의원 & 더 테너 리리코 스핀토

$
0
0


30년 동안 왕실의 옷을 지어온 상의원의 어침장 조돌석(한석규)은 이제 6개월만 채우면 곧 양반이 된다. 어느 날 왕의 면복을 손보던 왕비(박신혜)와 그녀의 시종들은 실수로 면복을 불태우게 된다. 궐 밖에서 옷 잘 짓기로 소문난 이공진(고수)은 급하게 옷 짓는 사람이 필요했던 왕비의 청으로 입궐하여 하루 만에 완벽하게 왕의 옷을 지어 올린다. 돌석은 처음에는 기생들의 옷이나 만드는 천한 사내라고 생각하며 공진을 무시하나 자신을 곧잘 따르는 공진에게 점차 마음을 열게 되고, 그의 천재성에 묘한 질투심도 느낀다. 왕(유연석)과 왕비를 사로잡은 공진의 옷들은 조선 전체의 유행을 일으키는 한 편, 청나라 사신을 위한 대형 진연을 앞두고 모두들 자신의 운명을 바꿀 최고의 옷을 만들기 시작하는데… 

조선시대 왕실의 의복을 만들던 공간 ‘상의원’
이 곳에서 펼쳐질 아름다움을 향한 대결이 조선의 운명을 뒤흔든다!

궁중사극의 또 다른 변주를 꾀한 '상의원'은 조선 왕실의 옷을 만들고 관장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다. 기생들의 옷을 만들던 자유분방한 성격의 천민 이공진이 우연찮게 궁에 들어가고, 상의원의 어침장 조돌석을 만나면서 둘은 동경과 질투가 섞인 묘한 대립을 하는데, 그 관계가 마치 모자르트와 살리에리와 비슷하다. 여기에 임금과 중전을 둘러싼 권력과 사랑의 테마가 더해지며 욕망적인 궁중사극으로 변모한다. 공진으로 인해 초반의 발랄하고 유쾌한 분위기는 의례 치열한 욕망의 드라마로 탈바꿈한 것인데, 이들의 감정선이나 심리적 흐름이 세밀하게 이입되지 않아 별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다. 

이른바 '궁중패션사극'이라는 나름의 색다른 장르적 비주얼로써, 갖가지 궁중 전통 의복을 보여주는 볼거리에 치중해 옷을 만드는 과정 보다는 만들어진 의복을 나열하는 데 그친다. 그러다 보니, 의복과 관련돼서 펼쳐낸 이들의 욕망적인 드라마는 유기적으로 끓어오르지 못하고 자기들끼리 심각한 감정의 소비만 낭비한다. 이미 자리를 잡은 돌석과 그 자리를 위협하는 공진의 대결 구도 또한 정적이며 입체적이지 못하다. 고수와 한석규의 연기는 좋으나 익숙하게 평면적. 이래저래 궁중사극의 또 다른 지형을 벗어나지 못한 채 그들의 공간은 공허해 보일 뿐, 굳히 사극의 자장이 아니어도 될 법한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궁중과 패션이 만난, 조선판 패션왕은 그만큼 새 지평을 열지 못한 것이다. 그래도 중전 박신혜는 이뻤다.. ㅎ

한줄 평 : 
두 조선판 패션 디자이너의 대립과 충돌, 궁중의 권력과 사랑이 더해지면서 상의원은 욕망적인 공간으로 변모한다. 궁중패션사극의 볼거리로서 기능은 했으나, 드라마적인 요소가 잘 이입되지 않는 '궁중패션사용설명서'. 이원석 감독이라서 그런가?!





최고가 아니어도 빛날 수 있을까… 

서정적인 섬세함과 심장을 관통하는 듯, 힘 있는 목소리를 함께 지닌 테너에게 주어지는 찬사 ‘리리코 스핀토’! 아시아 오페라 역사상 100년에 한번 나올만한 목소리라 주목 받으며 최고의 리리코 스핀토로 떠오른 한국인 성악가 배재철(유지태)은 유럽 오페라 스타이다. 그의 목소리에 반한 일본 오페라 기획자 코지 사와다는 그에게 일본에서의 공연을 제안하고 두 사람은 음악에 대한 애정과 이해의 공감으로 가까운 친구가 된다. 새 오페라 무대를 준비하던 배재철은 갑상선 암으로 쓰러져 갑작스럽게 수술을 받게 되고 수술 과정에서 성대 신경이 끊기면서 노래는커녕 말하기도 버거운 상황에 이른다. 목소리를 잃은 재철을 더 안타깝게 지켜보는 아내 윤희와 친구 사와다는 그의 성대가 회복 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하는데...

오페라가수 '테너' 중에서도 가장 서정적이고도 드라마틱한 목소리를 가리키는 '리리코 스핀토'. 제목 그대로 쉽게 짐작할 수 있게 성악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다. 여기 실제 테너 배재철의 감동적 실화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한다. 유럽도 반한 성악가가 성공가도 뒤에 갑작스런 갑상선암으로 성대를 잃고 무대에서 내려와 시련을 겪으며 다시 재기하는 과정을 드라마틱하게 담아내는 것. 그만큼 감동실화라는 측면에서 익숙한 소재와 장치로 한 사람의 여정을 그려내는데, 영화는 그 수순이 상투적으로 전개되면서 묵직한 울림이 오롯이 전달되지 않는 아쉬움이 있다.

'올드보이'의 이미지와 여타 드라마 속 훈남, 때론 감독으로 역량을 보였던 유지태는 성공과 좌절을 겪는 한 성악가를 맡아 연기변신을 시도해 나름의 완성도를 보이지만, 정작 중요했던 그에게 입혀진 목소리(립싱크)는 착 달라붙지 못하고 떠나는 느낌이 짙다. 그를 조력하는 아내 역 차예련은 내조를 통해 헌신적인 모습을 보이며 기존 이미지를 탈피했지만 정적이다. 정작 영화가 주요하게 내걸은 건, 목소리를 잃은 그를 다시 무대 위에 세우기 위해 나서는 일본 프로듀서와의 끈끈한 우정에도 초점을 맞춘다. 마지막 대미를 장식하는 것도 그러하고. 대중들에게 익숙한 몇몇 오페라 항연이 화면을 웅장하게 만든 요소는 빛이 날지언정, 반전 없는 익숙한 감동의 피날레만이 때꾼해진다. 그럼에도 성악가 배재철이라는 사람을 알리는 실화로서 공은 있다 할 것이다.

한줄 평 :
성악가가 목소리를 잃은 엄청난 사건을 통해서도, 큰 파격과 격정 없이 상투적인 감동의 수순(성공-좌절-재기)을 밟으며 익숙하게 피날레를 장식한다. 유지태에 입혀진 목소리가 착 달라붙지 못해 묵직하게 전달되지 못한다.



tag :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727

Trending Articles